vector 썸네일형 리스트형 vector 구현 소개 저번에 설명드렸던 vector를 구현한 것을 보여드리겠습니다. template으로 구현하였고 간단만 맴버함수들만 구현해 보았습니다. Inner Class로 구현한 Iterator와 Conatainer를 보여드리겠습니다. 구현 Container Memeber Variable m_pArr : m_iMaxCount만큼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배열의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 입니다. m_iMaxCount : 배열의 최대 사이즈를 의미합니다. vector에서 capacity라고 보시면 됩니다. m_iCurCount : 배열의 현재 들어있는 요소들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vector에서 size를 의미합니다. Public Member Functions public으로 제공하는 함수들의 목록입니다. push_back .. 더보기 STL vector vector vector 란 STL의 일종으로 임의접근(Random Access)을 지원하는 배열기반 컨테이너 입니다. vector는 내부적으로 크기를 확장하는 배열입니다. 때문에 가변 배열이라고도 부릅니다. vector는 배열과 같이 메모리블록에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 됩니다. (임의 접근이 가능한 이유) 장점 메모리 블록에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 되기 때문에 임의 접근이 가능합니다. 임의접근으로 데이터를 찾을 경우 O(1)의 상수시간 효율을 가집니다. (vecTemp[4]) 노드들이 연결되어있는 list와 다르게 메모리 블록에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 되기 때문에 삽입순서 대로 순회할 경우 가장 빠릅니다. 단점 데이터가 추가 되거나 삭제될 때 큰 비용을 지불 할 수 있습니다. (insert -> .. 더보기 이전 1 다음